
사진=외출 때 긴 옷을“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서산시 부석면에서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주요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처음 채집됐다고 4일 밝혔다.
채집 시점은 7월 첫째 주로, 지난해보다 1주 빠르다.
다행히 이번에 발견된 모기에서는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아 감염병 전파 위험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뇌염은 대부분 가벼운 증상에 그치지만 일부는 고열, 발작, 경련, 혼수상태 등 심각한 신경계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사망률도 20∼30%에 이른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2021년 23명, 2022년 11명, 2023년 17명, 지난해 21명 등 매년 20명 안팎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충남에서는 지난해 1명이 감염됐고, 올해는 아직 환자 발생이 보고되지 않았다.
정금희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일본뇌염은 치료제가 없는 만큼 예방이 최선"이라며 "야외 활동 시 긴 옷을 입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등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말했다.
뉴스투유=김완주기자pilla21@hanmail.net
사진=외출 때 긴 옷을“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서산시 부석면에서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주요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처음 채집됐다고 4일 밝혔다.
채집 시점은 7월 첫째 주로, 지난해보다 1주 빠르다.
다행히 이번에 발견된 모기에서는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아 감염병 전파 위험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뇌염은 대부분 가벼운 증상에 그치지만 일부는 고열, 발작, 경련, 혼수상태 등 심각한 신경계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사망률도 20∼30%에 이른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2021년 23명, 2022년 11명, 2023년 17명, 지난해 21명 등 매년 20명 안팎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충남에서는 지난해 1명이 감염됐고, 올해는 아직 환자 발생이 보고되지 않았다.
정금희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일본뇌염은 치료제가 없는 만큼 예방이 최선"이라며 "야외 활동 시 긴 옷을 입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등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말했다.
뉴스투유=김완주기자pilla21@hanmail.net